반응형
명제
-
명제(命題)의 역(逆), 이(裏), 대우(對偶)와 충분조건, 필요조건, 필요충분조건생활 수업 2022. 9. 12. 00:38
각종 적성시험을 준비하다 보면 명제를 공부할 필요를 느끼게 됩니다. 물론 깊이 있게 공부할 것까지는 없지만, 기본 내용 정도는 알아두면 문제를 풀기 수월합니다. 아래에 명제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정리해 놓았습니다. 1. 명제의 정의와 역, 이, 대우 (1) 명제: 참, 거짓을 판단할 수 있는 의미있는 평서문을 말합니다. (2) 명제의 역, 이, 대우: 조건 명제 p→q에서, 1) p, q는 각각 조건으로 p를 전(조)건, q를 후(조)건이라 합니다. 2) →로 연결됨으로써 p는 가정, q는 결론이 됩니다(“p이면 q이다.”). p→q가 참이면 p⇒q, 거짓이면 p⇏q로 표시합니다. 3) p, q는 각각 명제이기 때문에 조건 명제인 ‘p→q’는 합성 명제입니다. 4) 명제 p→q의 가정과 결론의 순서를 ..